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심리만화경] 기후 변화로 와인이 독해졌다?

와인바에서 요즘 나이가 들어서인지 예전에 맛있었던 포도주가 입맛에 안 맞게 됐다고 했더니, 실제로 요즘 포도주 맛이 조금 변했다는 말을 해 주었다. 전반적으로 도수가 높아지고 있다는데, 놀랍게도 그것이 기후 변화 때문이란다. 최근 온난화 현상 때문에 포도 재배지들의 평균 기온이 올라갔는데, 이 때문에 포도의 당도가 높아진 것이 그 이유라고 한다. 갑자기 기후 변화의 문제가 내 옆에 성큼 다가온 것 같은 기분에 소름이 돋았다.   기후 변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이 새로운 사실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기후 변화는 나와 조금 거리가 있어 보였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심리적 거리와 연관지어 설명한다. 환경 변화 위기는 단기간의 문제가 아니라 천천히 진행되어 먼 훗날 발생하는, 시간적 거리가 먼 사건이고, 빙하가 있는 곳이나 숲이 우거진 해외의 어떤 곳에서나 벌어지는 공간적 거리가 먼 사건이며, 심각한 결과가 실제로 나타날 것 같지 않은 실재적 거리가 먼 사건으로, 나와 심리적 거리가 먼 것으로 지각된다.   심리적 거리가 먼 사건들에 대해서는 대상을 ‘왜?’의 차원에서 바라봐, 본질적인 목적·가치·이념 같은 핵심 의미에 집중하는 추상적인 사고를 하고, 반면에 수단·절차 등에 초점을 맞추는 구체적인 사고로 발전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기후 변화 위기 인식을 실질적인 환경 보호 행위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후 변화와 나의 심리적 거리를 좁힐 필요가 있다.     애주가인 내가 포도주를 통해 기후 변화를 체감했듯이,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근접화), 나와 관련된(개인화), 구체적(구체화)인 사례를 통해 설명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지난 5일은 식목일이었다. 예전같이 휴일도 아니고 곳곳에서 나무 심기 행사를 하는 것도 아니어서 나무 심으러 가진 않았지만, 쓰레기 분리수거와 1회용품 사용 줄이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며 눈에 보이지 않는 나무를 심어보려 한다. 푸른 지구 포에버! 최훈 / 한림대 교수심리만화경 기후 변화 기후 변화 환경 변화 심리적 거리

2025-04-07

[우리말 바루기] ‘졸리운’ 사람 있나요?

봄철에 나른하고 피로를 쉽게 느끼는 증상을 춘곤증이라고 한다. 환경 변화에 몸이 적응하지 못해 생기는 것이라고 한다. 춘곤증이 생길 때 “이유 없이 졸립다”는 표현을 쓰곤 한다. 이 표현에는 문제가 없는 것일까?   ‘졸립다’고 하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졸립다’가 아니라 ‘졸리다’가 바른 표현이다. 따라서 ‘졸립다’를 활용한 ‘졸립고’ ‘졸립지’ 등도 바르지 못한 표현이다. ‘졸리다’를 활용한 ‘졸리고’ ‘졸리지’ 등으로 바꾸어야 한다.   “하도 졸리워 찬물에 세수를 하고 왔다” “졸리운 사람은 눈을 붙여도 된다” “졸리우니 집중이 되지 않는다”처럼 쓰이는 ‘졸리우다’ 표현은 어떨까? 이 역시 잘못된 말이다. ‘졸리워’ ‘졸리운’ ‘졸리우니’는 모두 ‘졸립다’에 ㅂ불규칙 활용이 적용된 표현이기 때문이다. ‘졸려’ ‘졸린’ ‘졸리니’로 고쳐야 한다.   이와 비슷하게 쓸데없이 ‘ㅂ’을 붙여  틀리게 쓰는 표현이 있다. 바로 ‘시렵다’이다. 제법 손이 시렵다” 등처럼 추위를 느낀다고 표현할 때 ‘시렵다’를 쓰곤 한다. 그러나 ‘시렵다’는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로 ‘시리다’고 해야 바르다.   “손이 시려워 꽁, 발이 시려워 꽁~”으로 시작하는 동요 ‘겨울바람’ 때문인지 ‘시려워’를 자연스럽게 쓰는 경향이 있으나 ‘시려워’는 ‘시렵다’에 ㅂ불규칙 활용이 적용된 표현이다. ‘시리다’를 활용한 ‘시리어(시려)’로 고쳐야 한다.우리말 바루기 환경 변화

2024-01-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